티스토리 뷰
목차
예전에는 컴퓨터 좀 하는 사람들이랑 일반인들 간에 디지털기기 활용적인 부분에서 실력 차이가 조금은 컸습니다. 하지만 요즘!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2025년의 인터넷 세상은 4050세대도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복잡한 설명 없이, 실생활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속형 꿀팁만을 모았습니다. 건강 정보 검색부터 공공서비스 활용, 간편한 스마트폰 사용법까지! 인터넷이 어렵게만 느껴졌다면 지금부터 바뀔 수 있습니다.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간편한 인터넷 사용법
먼저 인터넷 사용의 기본은 브라우저 활용입니다. 매번 날씨를 보기위해서 네이버 들어가서 또 날씨 누르고 하시나요? 이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사이트의 홈 화면에 자주 방문하는 메뉴(뉴스, 날씨, 지하철, 은행)를 등록해두면 클릭 한 번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도 생성 가능한데요. PC와 스마트폰 모두 가능하지 자주 이용하는 메뉴는 아이콘을 만들어 사용하세요.
또한 스마트폰의 음성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 키보드 사용 없이도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삼성 음성비서나 구글 어시스턴트는 말로 검색하고, 문자 보내고, 일정 확인까지 가능하죠. 즐겨찾기(북마크) 설정이나 홈 화면에 아이콘 추가 기능도 자주 쓰는 앱 접근을 훨씬 편하게 만들어줍니다.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다면 큰 글씨 모드, 다크 모드, 확대 기능 등 접근성 설정을 통해 화면을 더 편하게 조정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이처럼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면 인터넷이 훨씬 친숙해집니다.
건강 정보를 스마트하게 찾는 방법
나이가 들수록 관심이 커지는 주제 중 하나는 건강 정보입니다. 하지만 인터넷에는 잘못된 정보도 많기 때문에 공신력 있는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사이트로는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의학백과 등이 있습니다. 포털 검색 시 ‘OO병원+질병명’으로 검색하면 병원에서 직접 제공하는 정확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도 전문가가 운영하는 채널(닥터프렌즈, 서울아산병원TV 등)을 구독하면 유익한 건강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건강관리 앱을 설치해 걸음 수, 수면 시간, 혈압 등을 기록하는 것도 습관화하면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대표적으로 Samsung Health, Apple 건강 앱이 있습니다.
공공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하는 팁
인터넷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는 생각보다 많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이트는 정부24입니다.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등 각종 서류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연금조회, 세금납부 내역 확인, 전자신고 등도 모두 가능합니다. 로그인은 공동인증서나 간편인증을 사용하면 훨씬 간단합니다. 모바일에서는 정부24 앱, PASS 앱, 국민비서 구삐 등 다양한 어플을 통해 알림을 받거나 신청을 빠르게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특히 구삐는 백신 접종, 연금 수령일, 교통 단속 알림까지 챙겨주는 인생 도우미로 불립니다. 사용방법을 잘 모르신다면 유튜브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 영상으로 사람들이 볼 수 있게 사용방법을 올린 유튜버들이 많이 있답니다.
디지털이 낯선 세대일수록 더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 필요합니다. 오늘 소개한 꿀팁만 알아도 생활이 훨씬 편해지고, 정보 격차도 줄어듭니다. 지금 하나씩 실천해 보면서, 디지털 세상과 더 친해져보세요. 인터넷은 4050세대를 위한 최고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