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50대 노후 위기 탈출법
50대 이후 노후

 

50대가 되니, 현실이 다르게 보인다. 퇴직이 코앞이고, 자녀 교육비는 여전히 많이 든다. 근데 정작 내 노후는 아무 준비도 안 돼 있다. 이제라도 뭔가 해야 할 것 같아서 불안하다. 지금 당장 뭘 해야 할까 고민했다. 결론은 명확하다. ‘수익형 자산’과 ‘연금 설계’. 이 두 가지로 노후 생존 전략을 짜야겠다.

수익형 자산으로 현금 흐름 만든다

노후에 제일 필요한 건 매달 꾸준히 들어오는 돈이다. 그걸 만들어줄 수 있는 게 ‘수익형 자산’이다. 50대인 내가 시작할 수 있는 수익형 자산을 찾아봤다. 크게 두 가지가 눈에 띈다. 하나는 부동산 임대 수익이다. 전세를 월세로 바꾸거나, 소형 원룸을 임대하는 방법이 있다. 아니면 상가를 몇 사람과 나눠 운영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지방 소형 부동산은 시작하기도 쉽고 관리도 편해서 괜찮아 보인다. 예를 들어, 지방에 1억 원짜리 원룸을 사서 월세 50만 원씩 받으면 생활비에 보탬이 된다. 다른 하나는 배당주나 리츠(REITs) 투자다. 배당금 나오는 우량주를 골라서 넣고, 부동산 리츠에 분산 투자하면 매달 돈이 들어온다. 요즘은 월 단위로 배당 나오는 상품도 많아서 노후 자금 관리에 편하다. 예를 들어, 5천만 원을 투자해서 월 20만 원씩 배당금이 나오면 마음이 든든하다. 수익형 자산은 돈 버는 수단이 아니라 노후를 버티는 든든한 버팀목이다. 투자라기보단 생존 플랜으로 접근한다.

연금 설계는 50대에게 마지막 기회다

국민연금 하나면 충분할 거라고 생각했다. 근데 현실은 다르다. 지금 기준으로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이 60만 원도 안 된다. 이걸로 생활비를 어떻게 감당하나 싶다. 그래서 개인연금이나 IRP(개인형 퇴직연금) 같은 제도가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IRP는 연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는다. ETF나 펀드처럼 굴릴 수도 있다. 거기에 연금저축펀드까지 병행하면 연금 수입이 다양해진다. 예를 들어, IRP에 매달 50만 원씩 넣으면 세금도 아끼고 나중에 연금으로 돌아온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는 게 중요하다. 60세가 넘으면 납입 기간이 짧아져서 수익이 적다. 이제라도 나한테 맞는 연금 구조를 만들어야겠다. 직장에서 퇴직금이 나오면 그걸 IRP에 넣어볼까 생각한다. 퇴직금 1억 원을 넣으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된다.

자산 점검과 리스크 관리, 지금부터 시작한다

노후를 준비하려면 ‘버는 돈’뿐 아니라 ‘나가는 돈’도 신경 써야 한다. 지금부터 지출 구조를 점검하고 줄여야겠다. 통신비, 보험료, 식비, 차량 유지비 같은 고정지출을 줄인다. 예를 들어, 매달 나가는 통신비를 10만 원에서 5만 원으로 줄이면 1년에 60만 원을 아낀다. 그리고 의료비, 간병비 같은 예상 밖 지출도 대비한다. 60대가 되면 건강이 모든 걸 좌우한다. 실손보험, 장기요양보험 같은 걸 미리 챙겨두는 게 낫겠다. 주변에서 간병비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을 보니 무섭다. 마지막으로 가계 자산 구조를 다시 본다. 실거주 주택, 예금, 주식, 보험, 부동산 같은 내 자산 구성을 점검한다. 노후에도 돈이 흘러들어오게 바꿔야겠다. 이제 고위험 고수익은 피하고 싶다. 안정성과 유동성을 먼저 생각한다.

 

50대는 노후 준비의 분기점이다. 그동안 모아온 자산이 있다면, 이제는 ‘굴릴 준비’를 해야겠다. 수익형 자산으로 매달 들어오는 돈을 만들고, 연금 설계로 기반을 다진다. 늦었다고 생각할수록 서둘러야겠다. 지금이 진짜 노후 생존 전략을 짤 타이밍이다.